서민·소상공인 신속 신용회복 지원 시작, 대상과 혜택은?


 

1. 제도 시행 배경

금융위원회는 경기침체와 생활고로 어려움을 겪는 서민과 소상공인을 위해 신속 신용회복 지원 제도를 2025년 9월 30일부터 본격 시행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성실히 연체 채무를 전액 상환한 사람들에게 신용평점 회복 기회를 제공해, 다시 정상적인 경제 활동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 특별 지원책입니다.


2. 지원 대상

지원 대상은 2020년 1월부터 2025년 8월 사이에 5천만 원 이하 소액 연체가 발생했으나,
2025년 12월 31일까지 연체금액을 전액 상환한 개인·개인사업자입니다.

  • 개인 차주: 약 295.5만 명

  • 개인사업자: 약 74.8만 명

  • 이 중 이미 전액 상환한 인원은 개인 244.9만 명(83%), 개인사업자 12.8만 명(17%)으로, 총 257.7만 명은 즉시 지원이 이뤄집니다.

  • 아직 상환하지 못한 112.6만 명도 올해 말까지 상환 시 자동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주요 혜택

(1) 신용평점 상승

  • 개인: 평균 40점 상승 (616점 → 656점)

  • 개인사업자: 평균 31점 상승 (696점 → 727점)

특히 20~30대 청년층은 평균 상승 폭이 42~50점으로, 재기 지원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습니다.

(2) 금융 서비스 이용 확대

  • 약 29만 명은 신용카드 신규 발급 가능

  • 약 23만 명은 은행권 신규대출 평균평점 초과

  • 개인사업자 약 2만 명은 제1금융권 대출 자격 획득


4. 확인 방법

대상자는 별도 신청 없이 신용평점이 자동으로 조정됩니다.
또한 본인이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신용평가사 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총 8개 기관에서 대상 여부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5. 기대 효과

이번 조치는 코로나19, 경기침체, 물가 상승 등으로 어려움을 겪은 서민·소상공인에게 경제적 재기 기회를 제공합니다.
특히 음식·숙박업, 도소매업 등 민생경제 업종에서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됩니다.

금융위원회는 이번 지원과 더불어 새출발기금, 장기 연체 채무조정 제도 등 기존 제도도 내실 있게 운영해 포용적 금융을 확대한다는 방침입니다.


6. 마무리

서민·소상공인을 위한 신속 신용회복 지원 제도는 단순한 채무 경감이 아닌, 신용 회복과 금융 정상화를 돕는 맞춤형 대책입니다.
연체를 성실히 상환한 이들이 다시 금융 거래를 원활히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이번 조치는, 사회 전반의 경제 회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 쓰기

0 댓글

신고하기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임금 체불 신고 방법 (2025년 최신)

상생페이백 10월 환급금 조회 방법

2025년 경비지도사 시험일정 (1차·2차 접수부터 시험과목까지)

이미지alt태그 입력